반응형

제네릭스 (Generics)

제네릭스(Generics)는 자바 J2SE 5.0 이후에 도입된 개념이다.

리스트 등에 자료형을 정해주는 개념인것 같다.

자료형을 저장해주면 나중에 자료형 변환을 해줄 필요가없어진다. 

파이썬이나 c언어 에는 있던 개념인데 나중에 추가 됬다는 점이 신기 했다.

 

반응형
Posted by 53C
,
반응형

파이썬을 배울때에는 배열과 리스트라는 존재가 모호했다. ㅍ이썬에서는 배열이 곧 리스트 였기 떄문이다. 

자바에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배열

1. 배열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다.

2. 자바에서는 0을 포함하여 숫자를 센다.

 

리스트

1. 리스트는 길이가 공정되어 있지 않다.

 

1.Key, Value 가 존재하며 하나의 key 에 하나의 value가존재한다.

 

 

 

반응형
Posted by 53C
,
반응형

StringBuffer 과 string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두번쩨 예제의 경우 string 자료형은 변하지 않기 떄문에 3번 string 객체가 생성이 되지만 StringBuffer의 경우 한번 객체가 생성이 되며 이후에는 객체가 생성되지 않아서 메모리 차원에서 유리하다고 볼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상황에 따라 다르다. StringBuffer 자료형은 String 자료형보다 무거운 편에 속한다. new StringBuffer() 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일반 String을 사용하는 것보다 메모리 사용량도 많고 속도도 느리다. 따라서 문자열 추가나 변경등의 작업이 많을 경우에는 StringBuffer를, 문자열 변경 작업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그냥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응형
Posted by 53C
,
반응형
  • int
  • long
  • double
  • boolean
  • char
  • String
  • StringBuffer
  • List

자바에는 많은 변수 형이 있습니다.

특히 

문자와 문자열을 나눌때 특이한 점이 있었습니다.

 

자바에서는 파이썬이나 c언어와 다르게 작은 따음표와 큰따음표의 사용법이 달랐습니다. 

작은 따음표는 문자를 큰따음표는 문자열을 나타냅니다.

 

자주사용하는 변수를 선언하는 연습을 해보았습니다.

자바는 변수의 타입을 항상 설정해 줘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부분은 완성된 프로그램에서 안정성을 올리는 역활을 담당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53C
,
반응형

JDK 자바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통합 패키지와 이클립스라는 자바에 특화된 IDLE 통합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환경변수까지 설정을 했다.

 

처음에는 이클립스에서 창이 이상하게 분활되어서 어떻게 프로그래밍 해야하는지 어려웠다.

 

처음에 점프 투 자바를 읽으면서 공부를 할떄 알려주는 팁은 아래에 넣었다. 배울때 참고가 많이 될것 같다.

 

 

처음 이클립스를 키면 웰컴창이 보이게 된다. 이창은 코딩하는데 방해된다. 바로 꺼주는 것이 좋다.

만약 창이 이상하게 배치가 되어서 힘들다면

 

창배치를 초기화 해주는 방법이 있다.

Window - Perspective - Reset Perspective

 

 

이클립스에서 중하게 사용되는 창을 설명하겠다.

window -> show view 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나의 중간 중간 공부를 하면서 가장 인상적인 창배치를 찾을 것이다. 

Package Explorer View 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뷰이다.

 

이외에 Debug 라는 툴도 많이 사용하게 될것이다.

 

 

어두운 테마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Window -> Preferences

 

에서 Dark를 선택해주면 눈이 편하다.

 

글자를 크게 작게 하는 단축키이다

 

크게: ctrl + =

작게: ctrl + -

ctrl + + 와 햇갈려서 단축어를 찾아해맷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떄 같은 이름을 사용하면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컴퓨터에서는 두 파일이 공존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화 하여 두 파일을 공존시키는데 자바에서 이와 같은 원리를 가진것이 패키지 입니다. 그래서 패키지 이름은 중복이 잘 안되는 이름을 주로 사용을 하는데 관습적으로 도메인 주소를 패키지에 적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53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