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권한

sudo [명령]   루트권한으로 실행
shutdown [옵션] [시간] -r 시스탬 재시작
-P 강제종료
-h 종료
-c 종료 명령 취소
+m m분 후에 종료
adduser   사용자 추가
useradd [옵션] [사용자 계정] -m 사용자 추가
passwd   패스워드 생성 / 변경
userdel
  사용자 삭제(홈 디렉터리는 남아있음)
su [옵션] [사용자 계정] -, -l 지정한 사용자 환경으로 변경
groups   자신이 속한 사용자 그룹을 알수 있음

파일 관리

 ls [옵션] [파일] -a (all) 숨겨진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여줌
-l (long) 자세한 내용을 보여줌
chown [옵션] [사용자 /그룹] [파일] 8진수 값을 사용 파일의 소유권 변경
pwd   디렉터리 위치 출력
mkdir [옵션] -p 하위 디렉토리 생성
touch [파일명]   빈 파일 생성
cp   파일 복사
mv   파일이동
rm [옵션] [파일명]    파일 삭제
 cat [파일명]   파일 내용 보기
   cat > [파일명] 파일 편집
 more




  파일의 일정한 부분을 보여줌
f 다음화면
b 이전화면
Enter 한줄씩 출력
q 종료
less





  파일의 일정한 부분을 보여줌
g 가장 마지막 화면으로 이동
G 첫화면으로 이동
/[검색어] 하이라이트 기능
n 문자열 탐색 및 건너뛰기(앞으로)
N 문자열 탐색 및 건너뛰기(뒤로)
find [옵션][파일명]   파일을 찾음
grep [옵션] [표현식] [파일명]



  정규표현식 명령어
-c 문자열이 포함된 행의 갯수
-n 번호와 파일 출력
-i 대소문자 구분 X

 

오랜만에 보니까 새롭네.....리눅스 마스터 2급 까지 화이팅~

반응형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비스 관리하기  (0) 2020.02.22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0) 2020.02.14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0) 2020.02.14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0) 2020.02.13
리눅스 파일관리 4  (0) 2020.02.12
Posted by 53C
,
반응형

os와 네트워크는 책이오면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지금은 책의 내용만 다루도록 하겠다.

 

리눅스는 런레벨이란 것이 존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부팅한다. 부팅하는 방법은 윈도우와 비슷하지만 런레벨이랑 이름은 생소하다. 리눅스의 런레벨에는 6가지가 있다.

0은 졸료

1은 단일 사용자모드

2345 그래픽 다중사용자 모드

6은 재부팅 한경을 의미한다.

runlevel 명령어를 이용해서 나의 런레벨을 확인해보고 스스템 초기화 프로세스 init도 grep 명렬을 이요용해서 찾아보았다.

 

 

서버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이 되며 이러한 시스템 프로세스를 데몬이라고 칭한다.

 

서버 서비스를 실행시키고 서비스 파일과 서버가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 해보았다

 

문제가 발생했다. 나는 가상머신 위에 리눅스를 올려서 사용을 하는데 서버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해서 리눅스->서버가 되야되는데 윈도우 -> 리눅스 -> 서버 를 할수가 없다...

그래서 일단 hyper 을 이용해서 가상머신 위의 리눅스에 접근을 해보았고 성공적이다.. 음.. 일단 리버싱을 공부하잨

반응형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26일 리눅스 명령어 공부  (0) 2020.12.26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0) 2020.02.14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0) 2020.02.14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0) 2020.02.13
리눅스 파일관리 4  (0) 2020.02.12
Posted by 53C
,
반응형

퍄vi 는 유닉스 계열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오래된 오픈소스 텍스트 에디터이다.

vi 가 업그레이드 된게 vim 같다.

c 언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데... 음.. 뭐.. 하다보면 PTSD와 함꼐 새록새록 기억날것 같다.

https://hyeonstorage.tistory.com/274

 

Linux 문서편집기 vi, vim 명령어 정리

Linux 문서편집기 vi, vim 명령어 정리 Linux나 Unix에서 환경설정 파일 등을 수정해야 될때 vi 또는 vim을 사용한다. 하지만 윈도우의 단축키에 익숙해져 있는데다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니 매번 명령어가 헷갈린..

hyeonstorage.tistory.com

 

음.... c언어는 하나도 안나왔다.. ?

와 왜 해피해킹 덕들이 있는지는 이해가 됬다.. 

무슨 키가 이렇게 만은지는 이해가 안된다?

 

하는 과정에서 어느 몇몇 부분이 잘못되었고 심지어 사이트도 잘못 알려주었다... 혼자 찾아서 고치느라 힘들었다.

왜 해피 해킹을 쓰는지 알면서도 모르겠다. vi를 쓸데는 조금 익숙해지면 오히려 해피해킹이 편하겠지만 그냥 셀 환경에서는 방향키 없이는 조금 힘든감이 있다. 해피 해킹은 다음에 사는걸로....

일단 쉴 코드도 공부해야 할것 같지만 ㅈㄴ 재미 있다 뭔가 새롭다.

===========================================

아 뭐 모르겠다. 대학을 과를 선택을 조금 잘못 했을지도 모른다. 대구대 갈걸 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만약 여기서 포기하면 꿈도 end 다 

이제는 누구도 나를 이끌어 주지 않는다. 내가 앞서가고 내가 내 자신을 이끌어야 한다.

상황에 지지말자@!

반응형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26일 리눅스 명령어 공부  (0) 2020.12.26
리눅스 서비스 관리하기  (0) 2020.02.22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0) 2020.02.14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0) 2020.02.13
리눅스 파일관리 4  (0) 2020.02.12
Posted by 53C
,
반응형

리눅스 네트워크에 관한 ifconfig,netstat 명령어를 알아 봤다. 우선 네트워크에 대해서 앝은 지식 밖에 없어서 사용만 해보았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가 끝나고 서버 구축에 들어가기 전 네트워크에 대한 책을 한번 읽고 해볼 생각이다.

반응형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비스 관리하기  (0) 2020.02.22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0) 2020.02.14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0) 2020.02.13
리눅스 파일관리 4  (0) 2020.02.12
리눅스 파일 관리 3  (0) 2020.02.12
Posted by 53C
,
반응형

현재 내 리눅스 가상머신에서 완전히 죽은 좀비 프로세스는 없는것 같다.

실시간 프로세스의 상태도 알아보았는데 윈도우로 치면 실시간 사용량 같은것을 표시홰 준다.

 

파이어 폭스 를 실행시키고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프로세스를 중지도 시켜보았다.

특히 인상 깊은 점은 fid라는 명령어가 중지된 상태 아마 좀비 프로세스로 남아 있었던것이 신기했다.

매타문자

c언어와 매우 달라서 조금 했갈린다. 이런것이 있다는 것만 알아두고 다음에 사용해 봐야겠다.

추가로 저번시간에 배운 lass more 등을 이용해서 많은 프로세스를 작게 보려고 했는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아니라서 오류가 난다.

 

 

++++++++++++++++++++++

오늘 진짜 너무 힘든날이다... 리눅스는 오늘 할 분량 끝냈고 다시 자바를 해야되는데.....

 

반응형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0) 2020.02.14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0) 2020.02.14
리눅스 파일관리 4  (0) 2020.02.12
리눅스 파일 관리 3  (0) 2020.02.12
리눅스 파일관리 2  (0) 2020.02.10
Posted by 53C
,